<aside> ❗ 언제: 8원 8일 16:00 - 19:00

어디서: 비대면 (구글밋으로 진행)

</aside>


문제 풀이 및 내용 복습





활동 사진 및 소감

김현민 탐욕법은 작은 문제의 최선책이 전체 문제의 최선책이라고 가정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다. 생각하기 어렵지 않은 방법인 것 같지만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작은 문제를 잘 규정해야 탐욕법이 효과적으로 적용됨을 알 수 있었다.

조은산

지난 완전탐색부터 기존 개념을 사전적으로 요구하는 문제들이 많이 나오기 시작했다. 이번에 시간 배분을 잘하지 못하여 깊이 있는 문제 고민을 하지 못하였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다른 분들의 풀이를 살펴보고 깊이 있는 학습을 해야겠다고 다짐하는 기회가 되었다.

문서현

탐욕법 관련 문제를 풀다 보니, “탐욕법”이라는 개념 자체에 너무 집중해서 문제 풀이에 필요한 다른 개념들을 생각해내지 못했던 것 같다. 꾸준히 여러 개념을 학습하고 융합하는 능력을 길러야 겠다.

유진

양채원

DFS와 그리디 알고리즘을 직접 문제를 풀면서 이해하는 기회가 되었다. 특히 DFS에서 재귀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이해가 잘 가지 않았는데, 직접 문제를 풀어보고 시간을 들여 스스로 코드를 짜보는 연습을 해 보았더니 재귀 호출을 어떻게 사용하는 것인지 이해를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디 알고리즘은 막상 알고리즘에 대한 설명만 들었을 때에는 어떤 알고리즘인지 느낌이 잘 오지 않았다. 하지만 이것도 문제를 풀다 보니 어떤 경우에 그리디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것인지 감을 잡을 수 있게 되었다.